시라카와 요시노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라카와 요시노리는 일본 제국의 군인으로, 육군 대장까지 진급했다. 마쓰야마 번 무사의 아들로 태어나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했으며, 청일 전쟁 중 육군대학교를 중퇴했으나 이후 졸업했다. 러일 전쟁 참전, 육군사관학교장, 관동군 사령관, 육군 대신 등을 역임했다. 1932년 상하이 파견군 사령관으로 제1차 상하이 사변을 지휘하던 중 훙커우 공원 폭탄 투척 사건으로 사망했다. 사후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과 금계훈장 2급을 수여받았으며 남작 작위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말 마쓰야마번 (이요국) 사람 - 마사오카 시키
메이지 시대 일본의 시인이자 평론가, 수필가인 마사오카 시키는 하이쿠와 단카 혁신에 기여했으며, 특히 사생과 사실을 강조한 하이쿠 개혁은 현대 하이쿠에 큰 영향을 미쳤고, 청일전쟁 종군 기자 활동 중 결핵으로 요절했으나 병상에서 집필한 작품들은 걸작으로 평가받으며, 나쓰메 소세키 등 당대 문인들과 교류했고 야구 팬으로서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도 헌액되었다. - 막말 마쓰야마번 (이요국) 사람 - 아키야마 사네유키
아키야마 사네유키는 러일 전쟁에서 뛰어난 전략으로 일본의 승리에 기여했으며, 해군병학교 수석 졸업 후 미국 유학을 통해 해양 전략을 연구하고 연합함대 참모로서 뤼순항 봉쇄 작전과 쓰시마 해전에서 공을 세운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이다. - 수류탄에 죽은 사람 - 우범곤
1982년 경상남도 의령군에서 동거녀와의 다툼 후 격분한 경찰관 우범곤이 총기를 탈취하여 62명을 살해하고 33명에게 중경상을 입힌 사건으로, 경찰의 초동 대처 미흡과 경찰관의 범행이라는 점에서 사회에 큰 충격을 주어 내무부 장관 사임과 경찰 관련 규정 강화의 계기가 되었다. - 수류탄에 죽은 사람 - 강재구
강재구는 월남전 파병을 앞두고 수류탄 투척 훈련 중 부하의 실수를 몸으로 막아 부대원을 구하고 순직한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그의 살신성인 정신은 국군에 귀감이 되어 소령으로 추서되고 훈장이 수여되었으며, 육군사관학교 동상 건립 및 재구상 제정, 기념관과 추모비 조성 등으로 기려지고 있다. - 제1차 상하이 사변 관련자 - 시게미쓰 마모루
시게미쓰 마모루는 일본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당시 항복 문서에 서명하고 외무대신을 역임했으며, 전후 A급 전범으로 기소되었으나 복귀하여 부총리 겸 외무대신으로서 일본의 국제 사회 복귀에 기여한 인물이다. - 제1차 상하이 사변 관련자 - 우에다 겐키치
우에다 겐키치는 일본 제국의 육군 대장으로, 관동군 사령관 겸 주만 대사 재임 중 노몬한 사건으로 예비역 편입, 상하이 사변 참전, 훙커우 공원 폭탄 투척 사건으로 중상을 입었으며, 전후에는 전우 단체 연합회 회장, 일본 향우 연맹 회장을 역임했다.
시라카와 요시노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본명 | 시라카와 요시노리 (白川 義則) |
출생일 | 1869년 1월 24일 |
사망일 | 1932년 5월 26일 |
출생지 | 이요, 일본 |
사망지 | 상하이, 중국 |
묘소 | 마쓰야마시・사기타니 묘지 |
경력 | |
소속 | 일본 제국 육군 |
복무 기간 | 1890년–1932년 |
최종 계급 | 육군 대장 |
참전 | 청일 전쟁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1월 28일 사건 |
주요 지휘 | 제11 보병 사단 제1 보병 사단 관동군 상하이 파견군 |
서훈 | 금치훈장 (2등) 욱일장 (1등) |
정치 경력 | |
직책 | 육군 대신 |
재임 기간 | 1927년 4월 20일 – 1929년 7월 2일 |
국왕 | 히로히토 천황 |
총리 | 다나카 기이치 |
이전 | 우가키 가즈시게 |
이후 | 우가키 가즈시게 |
기타 정보 | |
봉작 | 남작 |
위계 | 종2위 |
2. 생애와 경력
시라카와 요시노리는 마쓰야마 번 무사의 아들로 태어나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890년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1893년 일본 육군대학교에 입학했으나 청일 전쟁으로 중퇴했다가 1895년에 복학, 1898년에 졸업했다.
1903년 육군 소좌가 되었고, 러일 전쟁에 참전하여 1905년 제13사단 참모로 자리를 옮겼다. 같은 해부터 육군성 인사국에서 근무했다.
1919년에 육군 소장으로 진급하여 일본 육군사관학교장이 되었다. 1923년에 관동군 사령관이 되었으며, 1925년에 육군 대장으로 진급했다. 1926년에 군사 참의관으로 자리를 옮겼으며, 1927년에 다나카 기이치 내각의 육군 대신이 되었다.
1929년에 육군 대신에서 물러나 다시 군사 참의관이 되었고, 1932년에 제1차 상하이 사변이 터지면서 상하이 파견군 사령관이 되어 중국 19로군을 토벌하는 역할을 맡았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869년 1월 24일 (메이지 원년 12월 12일) 마쓰야마 번 무사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13] 마쓰야마 중학교에 진학했지만, 집안의 어려운 재정 형편으로 인해 학비를 내지 못해 중퇴하고 에히메현청의 급사나 대용 교원 등의 직업을 전전했다.[13]1884년 1월, 육군교도단에 입대했다. 1886년 1월, 육군교도단을 졸업하고 육군 공병 이등군조가 되어 근위공병 중대에 배속되었다. 1887년 12월에 사관후보생이 되어 보병으로 전과, 보병 제21연대 부속을 거쳐 1890년 7월 26일에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1890년 7월 29일 관보에 따르면, 육군사관학교제1기를 보병과 3번/103명으로 졸업했다. 1기 동기생으로는 참모총장 겸 의정관인 스즈키 소로쿠 대장, 육군 대신·조선총독인 우가키 가즈시게 대장이 있었다. 1891년 3월 26일, 육군 소위에 임관했다.
2. 2. 군 경력
시라카와 요시노리는 마쓰야마 번 무사의 아들로 태어나,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890년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1893년 일본 육군대학교에 입학했으나 청일 전쟁으로 중퇴했다가 1895년에 복학, 1898년에 졸업했다.1903년 육군 소좌가 되었고, 러일 전쟁에 참전하여 1905년 제13사단 참모로 자리를 옮겼다. 포츠머스 조약 체결 전에 사할린을 점령하는 임무를 부여받은 제13사단은[1] 1905년 7월 7일 사할린에 상륙하여 8월 1일까지 섬을 확보했다. 이 작전의 성공으로 일본은 포츠머스 조약에서 남가라후토를 얻었다.
전쟁 후, 시라카와는 1905년 10월부터 육군성 인사국에서 근무했다. 1907년 중령, 1909년 대령으로 진급했고, 제34보병 연대장이 되었다.[2] 1911년 6월, 제11사단 참모장이 되었고, 소장으로 진급하여 제9보병 여단장이 되었다. 1916년부터 1919년까지 인사국장을 역임했으며, 중장으로 진급한 후에는 일본 육군사관학교 교장이 되었다.
1921년 3월, 제11사단 지휘관으로 시베리아 출병 이후 철수 및 일본 귀국을 감독했다. 1922년 8월에는 제1사단을 지휘했으며, 1922년 10월 야마나시 한조 장군에 의해 육군 차관으로 임명되었고, 육군 항공부의 부장도 역임했다.[3] 1923년 10월부터 관동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25년에 육군 대장으로 진급했다.
1926년에 군사 참의관으로 자리를 옮겼으며, 1927년에 다나카 기이치 내각의 육군 대신이 되었다. 1929년에 육군 대신에서 물러나 다시 군사 참의관이 되었다.
1932년 제1차 상하이 사변이 터지자 상하이 파견군 사령관이 되어 중국 19로군을 토벌하는 역할을 맡았다. 쇼와 천황은 시라카와에게 "조약 존중, 열국 협조, 신속한 사건 해결"을 부탁하며,[14] "상하이에서 19로군을 격퇴하면, 결코 오래 쫓아가서는 안 된다. 3월 3일의 국제 연맹 총회까지 어떻게든 정전했으면 한다."는 명령을 내렸다.[15] 시라카와는 1932년 3월 3일, 상하이에서 19로군을 몰아내고 정전 명령을 내려 천황의 신뢰에 부응했다. 국제 연맹 총회에서는 시라카와의 행동을 높이 평가했고, 일본에 대한 국제 사회의 비판적 분위기가 호전되었다. 이후에도 시라카와는 군 참모나 제1선 지휘관의 난징 진격론을 물리치고, 5월 5일에 정전 협정을 맺었다.
2. 3. 훙커우 공원 폭탄투척 사건
1932년 4월 29일, 상하이 훙커우 공원(현재의 루쉰 공원)에서 열린 천장절 축하 행사 도중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운동가 윤봉길이 던진 폭탄에 의해 시라카와 요시노리는 중상을 입었다.[4] 이 사건은 해군군악대가 연주하는 기미가요 제창 중에 일어났다. 이 사건으로 상하이 일본인 거류민단 행정위원장 겸 의사였던 가와바타 데이지가 사망했고, 제9사단장 우에다 겐키치 중장, 제3함대 사령관 노무라 기치사부로해군 중장, 주 상하이 공사 시게미쓰 마모루, 주 상하이 총영사 무라이 구라마츠, 상하이 일본인 거류민단 서기장 도모노 모리가 중상을 입었다.[41] 특히 시게미쓰는 오른쪽 다리를 잃었고, 노무라는 한쪽 눈을 잃었다.시라카와는 전신에 108곳의 상처를 입었음에도 당황하지 않고 현장 수습을 지휘했다고 전해진다. 이후 여러 차례 수술을 받았으나, 1932년 5월 26일 상태가 악화되어 6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
3. 사후
시라카와는 사후 욱일대수장과 금계훈장 2급을 수여받았으며, 남작 작위가 추서되었다.[5] 그의 유해는 고향인 마쓰야마시와 아오야마 묘지에 안치되었다.
4. 가족 및 친족
시라카와 요시노리는 장남, 삼남, 장녀를 두었다. 장남 시라카와 요시마사(白川義正)는 나가노 마모루의 장녀와 결혼했다. 요시마사의 의제인 나가노 겐은 미쓰비시 머티리얼 회장을, 나가노 다다시는 도요 펄프 부사장을 각각 역임했다. 나가노 마모루의 동생으로는 나가노 시게오, 나가노 도시 오, 고도 테루오, 나가노 시즈오, 나가노 오사무 등이 있다. 나가노 가문의 친척을 통해 나가야마 도키오, 우에노 주조, 아사카이 고이치로, 아카마 분조, 후나야마 쇼키치, 사카노 쓰네노리 등과 인척 관계에 있다.[1]
장녀의 남편은 코소 미키로의 동생인 고소 리쿠오(小磯利雄)이다.[1]
5. 평가 및 일화
시라카와 요시노리는 같은 고향 선배인 육군 대장 아키야마 요시후루에게 귀여움을 받았으며, 시라카와가 육군 대장이 된 후에도 "시라카와, 공부하고 있나?"라는 말을 들었다는 일화가 남아 있다. 요시후루가 당뇨병으로 입원했을 때 문병을 가기도 했다. 같은 고향 출신인 요시후루의 동생 아키야마 사네유키와도 교류가 있었다.[1]
6. 서훈
시라카와 요시노리는 일본 제국 육군 군인으로, 여러 훈장과 작위를 받았다. 1895년 훈6등 단광욱일장을 시작으로, 1902년 훈5등 서보장, 1906년 공3급 금계훈장과 훈4등 욱일소수장을 받았다.[20] 1914년에는 훈3등 서보장을 받았으며,[20] 1920년에는 훈2등 서보장과 욱일중광장을 받았다.[20] 1922년에는 최고 등급의 훈장인 훈1등 욱일대수장을 받았다.[20] 1932년에는 남작 작위를 받았으며,[20] 사망 직전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과 공2급 금계훈장을 받았다.[12]
6. 1. 위계
연도 | 위계 |
---|---|
1892년 (메이지 25년) 2월 3일 | 정8위[20][21] |
1894년 (메이지 27년) 10월 10일 | 종7위[20][22] |
1898년 (메이지 31년) 4월 16일 | 정7위[20][23] |
1903년 (메이지 36년) 7월 10일 | 종6위[20][24] |
1907년 (메이지 40년) 5월 20일 | 정6위[20][25] |
1910년 (메이지 43년) 2월 21일 | 종5위[20][26] |
1915년 (다이쇼 4년) 3월 20일 | 정5위[20][27] |
1919년 (다이쇼 8년) 2월 28일 | 종4위[20][28] |
1921년 (다이쇼 10년) 3월 30일 | 정4위[20][29] |
1924년 (다이쇼 13년) 5월 15일 | 종3위[20][30] |
1927년 (쇼와 2년) 6월 1일 | 정3위[20][31] |
1932년 (쇼와 7년) 5월 26일 | 종2위[32] |
6. 2. 훈장 등
수여 년도 | 훈장 종류 | 등급 | 비고 |
---|---|---|---|
1895년 (메이지 28년) 11월 28일 | 욱일장 | 훈6등 단광욱일장 | |
1902년 (메이지 35년) 11월 29일 | 서보장 | 훈5등 서보장 | |
1906년 (메이지 39년) 4월 1일 | 금계훈장 | 공3급 금계훈장 | |
1906년 (메이지 39년) 4월 1일 | 욱일장 | 훈4등 욱일소수장 | |
1914년 (다이쇼 3년) 5월 16일 | 서보장 | 훈3등 서보장 | |
1920년 (다이쇼 9년) 1월 30일 | 서보장 | 훈2등 서보장 | |
1920년 (다이쇼 9년) 11월 1일 | 욱일장 | 욱일중광장 | |
1922년 (다이쇼 11년) 11월 1일 | 욱일장 | 훈1등 욱일대수장 | |
1932년 (쇼와 7년) 5월 26일 | 욱일장 |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 |
1932년 (쇼와 7년) 5월 26일 | 금계훈장 | 공2급 금계훈장 |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o-Japanese War
[2]
서적
The Generals of World War II
[3]
서적
Axis History Factbook
[4]
서적
Encyclopedia of Military Biography
[5]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32-05-24
[6]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2-12-01
[7]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6-12-11
[8]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6-12-11
[9]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20-01-31
[10]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21-04-19
[11]
간행물
授爵・叙任及辞令
官報
1923-10-18
[12]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32-05-27
[13]
서적
(제목 추출 불가능)
2013
[14]
서적
侍従武官奈良武次日記・回顧録
柏書房
2000
[15]
서적
昭和天皇独白録・寺崎英成御用掛日記
文藝春秋
1991
[16]
서적
大将白川
松嶽會
1933
[17]
서적
入江相政日記
朝日新聞社
1990
[18]
서적
側近日誌
文藝春秋
1990
[19]
서적
古荘四郎彦の素顔
酣灯社
1955
[20]
아카이브
陸軍大将男爵白川義則特旨叙位ノ件
[21]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92-02-04
[22]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94-10-11
[23]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98-04-18
[24]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3-07-11
[25]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7-05-21
[26]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10-02-23
[27]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15-03-23
[28]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19-03-01
[29]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21-03-31
[30]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24-06-04
[31]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27-07-14
[32]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32-05-27
[33]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2-12-01
[34]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6-12-11
[35]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14-05-18
[36]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20-01-31
[37]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21-04-19
[38]
간행물
授爵・叙任及辞令
官報
1923-10-18
[39]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32-05-24
[40]
문서
일본 천황의 생일
[41]
웹사이트
훙커우공원의거: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